부산 해군기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 해군기지는 2001년부터 2006년까지 5년 6개월의 공사 기간과 500억 원의 건설 비용을 들여 완공되었으며, 세종대왕급 구축함을 포함한 30척의 함정이 동시에 기항할 수 있다. 2007년부터 작전을 시작했으며, 해군작전사령부와 주한 미 해군 사령부가 위치해 있다. 2010년 주한 미 해군 사령부 이전 계획이 논의되었고, 2016년 용산 기지에서 이전이 완료되었다. 미국 해군 함정은 연합 훈련과 순례를 위해 입항하며, 러시아 해군 함정도 기지에 도착한 바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해군의 기지 - 진해 해군기지
진해 해군기지는 1945년 일본 해군 진해 경비부 인수 후 설립된 대한민국 해군의 주요 기지로, 해군교육사령부, 해군군수사령부, 해군잠수함사령부, 해군사관학교 등 핵심 해군 시설이 위치해 있다. - 대한민국 해군의 기지 - 제주민군복합형관광미항
제주민군복합형관광미항은 2016년 준공되었으며, 관광 및 어업 기반 시설과 해군기지로 사용되지만 환경 파괴, 지역 갈등 등 문제점을 야기했다. - 부산 남구 소재의 관공서 - 한국거래소
한국거래소는 자본시장법에 따라 설립된 대한민국의 금융투자상품 거래 시장으로, 주식, 채권, ETF, 파생상품 등의 매매를 지원하며 코스피, 코스닥, 코넥스 시장을 운영하고 부산광역시에 본사를 둔다. - 부산 남구 소재의 관공서 - 부산은행
부산은행은 1967년 설립되어 1972년 주식 시장에 상장된 대한민국의 지방 은행으로, 2011년 BS금융지주(현 BNK금융지주) 출범 이후 본점을 문현동으로 이전했으며, 롯데그룹과의 협력을 통해 ATM 수수료 혜택을 제공하고 부산, 서울 등에서 영업하며 해외 지점도 운영한다. - 2005년 설치 - 일산동구
일산동구는 고양시의 한 구로, 성저토성 등의 유적을 통해 오랜 역사를 지니며, 일산신도시 개발 후 주거 및 상업 중심지로 발전하여 현재는 호수공원, 킨텍스 등과 편리한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 2005년 설치 - 일산서구
일산서구는 고양시의 서쪽에 위치하며 일산신도시를 포함하고, 역사적으로 고양군에 속했으며, 2005년 일산구에서 분구되어 현재 11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었고, 킨텍스를 포함한 인프라와 우수한 접근성을 가지나, 교통 혼잡과 서울 중심적인 교통 정책에 대한 불편이 있다.
부산 해군기지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명칭 | 부산 해군기지 |
원어 명칭 | 부산 해군기지 (한국어) |
로마자 표기 | Busan Haegun Giji |
위치 | 부산광역시 남구 |
운영 | |
개방 여부 | 아니요 |
건설 시작 | 2006년 6월 16일 |
사용 시작 | 2007년 |
주둔 부대 | 해군작전사령부 주한 미국 해군 |
![]() | |
![]() | |
건설 정보 | |
건설 기간 | 2001년 1월 ~ 2006년 6월 15일 |
면적 | 약 2만 평 (33개 동) |
부두 길이 | 1,022 m |
재료 | 콘크리트 |
2. 역사
부산 해군기지는 미국 해군 함선이 연합 훈련이나 순례 등의 이유로 주로 입항하며,[17] 2013년 10월 22일에는 러시아 해군 함선 3척(구축함 '아드미랄 비노그라도프', 구조함 '칼라', 군수지원함 '이르쿠트')이 입항하기도 하였다.[18]
2. 1. 대한민국 해군 기지 이전
대한민국 해군은 진해 해군기지 주변의 속도 제한으로 인해 기지 출입이 늦어지는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부산으로 이전하였고, 2007년부터 부산 해군기지에서 작전을 시작했다.[4]부산 해군기지는 2001년 1월부터 2006년 6월 15일까지 5년 6개월 동안 공사비 5000억원을 들여 완공되었다.[3] 세종대왕급 구축함(KD-3)을 포함한 30척의 함정이 정박할 수 있다.[19]
2007년 11월 5일 3함대 사령부가 목포 해군기지로 옮겨갔고,[20] 12월 1일에는 해군작전사령부가 진해 해군기지에서 부산 해군기지로 옮겨왔다.[21] 2015년 12월 1일에는 제7기동전단이 제주 해군기지로 이전하였다.[22]
2. 2. 주한 미해군 사령부 이전
2010년 9월 12일, 대한민국의 해군참모총장 김성찬 제독과 미국 태평양 함대 사령관 패트릭 웰시 장군은 주한 미해군 사령부를 부산 해군기지로 이전하는 방안을 논의하였다.[23] 2013년 8월 29일 기공식을 시작으로 약 64억원을 들여 9040m2 부지에 지하 1층, 지상 2층 높이의 사령부 건물이 2015년 9월에 완공되었고,[24][25] 2016년 2월 19일 서울특별시 용산 기지에서 이곳으로 이전을 완료하였다.[26]2. 3. 기타
부산 해군기지는 2001년 1월부터 2006년 6월 15일까지 5년 6개월의 공사 기간과 5000억원의 건설 비용을 들여 완공되었다. 세종대왕급 구축함을 포함한 30척의 함정이 동시에 기항할 수 있다.[3]진해 해군기지에 있던 대한민국 해군이 부산으로 이전하면서 2007년에 작전을 시작했다. 이전의 이유 중 하나는 진해 주변의 속도 제한으로 인해 기지 출입이 늦어졌기 때문이다.[4]
2010년 9월 12일, 대한민국 해군참모총장 김성찬 제독과 미국 태평양 함대 사령관 패트릭 M. 월시 제독은 미국 해군 사령부를 부산 해군기지로 이전하는 계획을 논의했다.[5] 2013년 8월 29일 기공식을 시작으로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의 사령부 건물은 2015년 9월 9040m2 부지에 약 640억원을 투자하여 완공되었다.[6][7] 2016년 2월 19일, 서울 용산 기지에서 이전이 완료되었다.[8]
미국 해군 함정은 주로 연합 훈련과 순례를 위해 이 항구에 입항하며,[9] 2013년 10월 22일에는 3척의 러시아 해군 함정(구축함 ''아드미랄 비노그라도프'', 구조 예인선 ''칼라'', 유조선 ''이르쿠트'')이 해군기지에 도착했다.[10] 2015년 12월 1일, 대한민국 해군 제7기동전단이 제주 해군기지로 이동했다.[11]
3. 시설 및 운용 부대
부산 해군기지는 미래 해양 분쟁에 대응하기 위해 기동함대의 전진 기지로 활용할 목적으로 건설되었다. 해군작전사령부의 이전은 동해, 서해 방면 해역에 대한 후방 지원을 고려하고 있으며[14], 2014년에 완공 예정인 제주 해군기지 및 진해 해군기지와 함께 남방 해역의 해상 교통로 보호와 한미 연합 부대 및 통합 작전의 효율적 운용을 목표로 한다. 당분간 기지 확장은 없으며 현행 시설을 활용할 예정이다.
2007년 11월 5일 3함대 사령부가 목포 해군기지로 이동하였고,[20] 12월 1일에는 해군작전사령부가 진해 해군기지에서 이전해 왔다.[21] 2015년 12월 1일에는 제7기동전단이 제주 해군기지로 옮겨갔다.[22]
2010년 9월 12일, 대한민국의 해군참모총장 김성찬 제독과 미국 태평양 함대 사령관 페트릭 웰시 장군이 주한 미국 해군 사령부를 부산 해군기지로 이전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23]
3. 1. 주요 시설
부산 해군기지는 2001년 1월부터 2006년 6월 15일까지 5년 6개월에 걸쳐 완공되었으며, 공사비 5000억원이 투입되었다.[19] 세종대왕급 구축함(KD-3)을 포함한 30척의 함정을 정박할 수 있다.[19] 배수량 10만 톤이 넘는 미국 해군 항공모함도 정박할 수 있을 만큼 넓다.[15]이 기지에는 미국 해군 함선이 연합 훈련이나 순례 등의 목적으로 주로 입항하며,[17] 2013년 10월 22일에는 러시아 해군 함선 3척(호위함 아드미랄 비노그라도프, 구조함 칼라르, 군수지원함 이르쿠트)이 입항하기도 하였다.[18]
2015년 9월에는 약 640억원을 들여 9040m2 부지에 지하 1층, 지상 2층 높이의 주한 미국 해군 사령부 건물이 완공되었고,[24][25] 2016년 2월 19일 주한 미국 해군 사령부가 서울특별시 용산 기지에서 부산 해군기지로 이전하였다.[26]
3. 2. 주둔 부대
- 대한민국 해군작전사령부|해군작전사령부한국어
- 주한 미국 해군[12][13]
4.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US naval command's new South Korea headquarters nears completion
http://www.stripes.c[...]
Stars and Stripes
2015-08-07
[2]
웹사이트
Carrier USS John C. Stennis Arrives in Korea For Port Visit, Exercises
https://news.usni.or[...]
US Naval Institute
2016-03-14
[3]
웹사이트
【写真】釜山作戦基地が竣工
https://japanese.joi[...]
2022-02-19
[4]
웹사이트
Navy secretly moves base to Busan
http://koreajoongang[...]
Korea JoongAng Daily
2007-12-03
[5]
뉴스
Korea-US, U.S. Naval Command in Seoul, Promotion of Relocation of Naval Base in Busan
http://biz.heraldcor[...]
Herald News
2013-09-13
[6]
웹사이트
주한 美해군사령부, 용산서 2015년까지 부산 이전
https://www.hankyung[...]
2013-08-26
[7]
웹사이트
주한 美 해군사령부 부산 신청사 착공…2015년 이전
https://www.yna.co.k[...]
2013-08-29
[8]
웹사이트
주한 美해군사령부 부산 이전
https://news.naver.c[...]
2022-02-19
[9]
웹사이트
[사진] 부산 해군기지에 모인 한·미·영 함정
https://www.joongang[...]
2013-12-06
[10]
웹사이트
러시아 해군함정 3척, 부산작전기지 입항
https://www.news1.kr[...]
2013-10-22
[11]
웹사이트
국방부, 제주해역사 해체-> 기동전단 창설
http://www.jejusori.[...]
2008-11-24
[12]
웹사이트
US naval command's new South Korea headquarters nears completion
http://www.stripes.c[...]
Stars and Stripes
2015-08-07
[13]
웹사이트
New Era of US, ROK Navy Alliance Begins in Busan
http://www.navy.mil/[...]
US Navy
2016-02-19
[14]
뉴스
海軍作戦司令部が釜山移転、遠洋作戦時代の幕開け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07-07-18
[15]
뉴스
米空母「ジョージ・ワシントン」に乗ってみると…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0-07-22
[16]
뉴스
【写真】釜山作戦基地が竣工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06-06-15
[17]
뉴스
부산 해군기지에 모인 한·미·영 함정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3-12-06
[18]
뉴스
러시아 해군함정 3척, 부산작전기지 입항
http://news1.kr/arti[...]
뉴스1
2013-10-22
[19]
뉴스
釜山作戦基地が竣工
http://japanese.join[...]
중앙일보
2006-06-15
[20]
뉴스
해군 제3함대 '목포시대 출항'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07-11-15
[21]
뉴스
해군작전사령부, 연말까지 부산으로 이전
http://www.tongilnew[...]
통일일보
2007-07-18
[22]
뉴스
국방부, 제주해역사 해체-> 기동전단 창설
http://www.jejusori.[...]
제주의 소리
2008-11-24
[23]
뉴스
한-미, 서울 주한미해군사령부, 부산 해군기지 이전 추진
http://biz.heraldcor[...]
헤럴드 뉴스
2013-09-13
[24]
뉴스
주한 美해군사령부, 용산서 2015년까지 부산 이전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3-08-26
[25]
뉴스
주한 美 해군사령부 부산 신청사 착공…2015년 이전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3-08-29
[26]
뉴스
주한 美해군사령부 부산 이전
https://news.naver.c[...]
서울신문
2016-02-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